1. SF 재난 영화 줄거리
리들리 스콧 감독의 2015년 SF 재난 영화 마션 이야기입니다. 앤디 위어의 소설을 원작으로 제작한 영화입니다. 맷 데이먼이 주인공인 마크 와트니 역을 잘 소화합니다. 화성탐사에 아레스 3팀이 동원됩니다. 우선 스콧 감독의 경우 글래디에이터, 에이리언 등의 영화로도 유명한 분입니다. 이런 분이 감독으로 메가폰을 잡고 막대한 예산을 쏟아부은 영화기에 믿고 보는 영화가 되었습니다. 이미 많이 알려진 맷 데이먼의 명품 연기 또한 우리들에게는 친근한 이미지를 보여 줍니다. 생동감 넘치는 대형 재난 영화답게 화성의 모습을 정말로 사실적으로 리얼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화성탐사로 아레스 3팀이 화성에 도착하여 처음에는 순조롭게 임무수행이 진행됩니다. 그런데 화성에도 거대한 폭풍이 닥쳐옵니다. 사실 일기예보는 폭풍이 올 거라는 사실을 알고는 있었습니다. 그래도 임무는 수행해야 했기에 무시하고 지나던 중 생각보다 엄청난 폭풍을 맞이하게 됩니다. 모두들 위기일발의 위험한 상황에서 와트니는 외부에서 대원들을 살리기 위하여 고군분투를 하던 중이었습니다. 그때 부러진 안테나에 맞으면서 튕겨나가고 말았습니다. 설상가상으로 우주복이 찢어지는 사고가 발생하면서 대원들은 어찌할 바를 몰랐습니다. 막연하게 와트니를 기다리거나 찾아 나설 상황이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결단을 내리게 됩니다. 우선 살아있는 대원들 만이라도 무사히 지구로 귀환해야 했습니다.
한참 시간이 지나 다시 화성탐사를 위해 기지를 점검하던 중 참으로 놀라운 사실을 발견하게 됩니다. 분명히 몇 년 전 그대로의 폐허화된 모습을 상상하였는데 태양전지가 깨끗하게 청소되어 있고 무엇인가 제대로 정리되어 있는 모습을 발견하고는 모두들 경악하게 됩니다. 이곳 저곳을 샅샅이 검색해 보던 중 드디어 그동안 죽은 줄로만 알았던 와트니가 살아 있는 모습을 지켜보고는 다들 놀랍니다. 와트니도 이를 발견하지만 서로 송수신할 방법이 없었습니다. 식물학자이자 기계공학자인 와트니는 오래전에 존재했던 무인 탐사선을 떠올리고 기지를 떠나 무인 탐사선 패스 파인더를 찾아 나서게 됩니다. 드디어 지구와 교신이 되고 아레스3팀이 다시 와트니를 구조하기 위해 찾아 나선다는 감동적인 이야기입니다.
2. 인간 한계 넘어섰다
화성을 탐사하고 실행한다는 계획 자체부터가 인간의 한계를 넘어서는 일입니다. 하지만 인류는 꾸준하고 일관되게 행성을 찾아 나서게 됩니다. 지금까지 선진국 몇몇 나라만 가능했습니다. 그것은 그야말로 과학이 총동원되어 기술의 집결체라고 해야 하겠습니다. 곽학기술만 발달했다고 저절로 우주과학을 완성할 수는 없는 노릇입니다. 우주인들이 제 역할을 해주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와트니는 정말 운도 좋고 의지도 출중합니다. 안테나에 맞아서 이탈 시에 안테나 일부가 배를 찔렀는데 복부 출혈로 피가 우주에서 응고되면서 우주복이 찢어진 틈을 막아 주었기에 숨을 쉴 수 있었습니다. 다행히도 홀로 남겨지기는 했지만 기지 내로 돌아오면서 좌절과 기대를 한 번에 겪게 됩니다.
만약에 탐사선이 다시 오려면 몇 년을 기다려야 하는데 그때까지 생존할 식량이나 장비가 마땅하지 않았습니다. 마침 그의 전공이 식물학자이면서 기계공학자이기 때문에 기지내에 태양전지판을 정비하고 화성의 토양을 가져다 놓고 인분을 이용하여 영양을 공급합니다. 물이 없어 작물을 심어도 소용이 없었습니다. 그래도 기계공학자이기 때문에 물을 만들어 냅니다. 감자를 심어 가꾸게 됩니다. 마침내 감자가 잘 자라면서 식량을 확보하게 됩니다. 하지만 어느 날 기지 내에 있는 시트가 찢어지게 되면서 출입구가 통째로 날아가게 됩니다. 감자는 바로 모두 얼어버립니다. 이제 식량도 동이 났습니다.
3. 돌아갈 의지 불태우다
영화를 보는 내내 와트니의 안타까운 입장에 감정이입을 하게 됩니다. 묘하게 빠져드는 사이 후딱 2시간이 지나가게 되는 SF 대작입니다. 보통 SF 영화들은 전쟁 영화가 많습니다. 하지만 재난 영화이면서도 와트니를 중심으로 인간의 극한 상황에 대처하는 감정선을 건드리게 됩니다. 나라면 어떻게 했을까 하는 막연한 상상부터 구체적인 대안까지도 관중들은 생각하게 됩니다. 사실 주저하고 포기한다면 그곳에서 일생을 마칠 것입니다. 그것은 쉽지는 않겠지만 반대로 그냥 의지를 꺾으면 굳이 힘들게 감자를 심는 노력을 할 필요가 없게 됩니다. 하지만 사랑하는 가족들을 보고 싶고 어떻게든 살아서 귀환해야 하겠다는 의지를 불태우면서 영화의 상당 시간을 보냅니다.
와트니가 아무도 없는 적막한 행성에서 홀로 외로움과 싸워가면서 생존하는 모습을 가슴 졸여가면서 지켜보게 됩니다. 영화를 보는 내내 가슴을 졸여 가면서 와트니의 심정을 공감합니다. 현대인들은 누구나 과학기술이 아무리 발달해 있더라도 인간이 가지고 있는 의지와 노력을 대신할 수는 없습니다. 처음부터 와트니를 발견할 수는 없었습니다. 지구의 우주센터에서도 당연히 와트니는 이미 사망한 대원입니다. 하지만 와트니는 우연히 잡힌 영상에서 살아 있음을 과시합니다. 그의 극한 상황에서의 찰진 욕설은 오히려 영화를 더욱 재미있고 즐기게 만들어 줍니다. 이 영화는 나중에 골든글러브 시상식에서 코미디 부문 영화상을 수상했습니다. 그만큼 재미있고 흥행이 보증된 인간미 가득한 영화로 관객들에게 사랑을 받습니다.